♧,聖 賢 들의 말씀(名言),♧
荀子 儒敎(순자 유교)에
듣는것은 보는것 보다 못 하다,
그리고 보는것은 아는것 보다 못 하며,
아는것은 이를 행동하는 것 보다 못하다.
듣지 않는것은 듣는것 보다 못 하며,
결국은 실행하지 않는한,......
어떠한 지식도 가치가 없다는 말이다.
管子 權修(관자 권수)에
一樹一穫(일수일확) 하는 것은 穀(곡)이요,
一樹 十穫(일수십확) 하는 것은 木 이다.
一樹百穫(일수백확) 하는 것은 사람이다.
즉,하나를 심어 하나의 수확이 있는 것은 곡식이요.
하나를 심어서 열의 수확이 있는것은 목재 이고,
하나를 심어서 백개의 수확이 있는 것은 인재 이다.
이와 같이 사람을 기르는 것이 가장 수확이
크다는 것을 말 함이다.
筍子 勤學(순자 근학)편에
배우기를 중단해서는 않된다.
배우기를 중단했을 때 바로 인간의 성장은
거기에서 멈춘다.
小學外篇 嘉言(소학외편 가언)에서
祿(록)을 구하기를 배우지 않으려면 도예에
힘쓰는 일 밖에 없다.
어떤 특기나 전문지식을 몸에 익혀두면 결코
생활이 곤궁해 지는 일은 없을 것 이다.
그러므로 우리들 범인은 마땅히 일분 일초의
시간도 아껴 공부하며 배워야 한다.
袁枚 再過莫然湖感詩(원매재과막연호감시)에
男兒는 천년 대계를 세우기를 원한다.
인류의 영원한 행복을 위해 무엇인가 하려고
하는 것과 같은,원대한 목표를 가질수 있는,
자 만이 男兒라고 부르기에 적합한 인물이다.
菜根譚 前集 四十三(채근담전집 사십삼)에서,
입신을 하는데 한걸음 높게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지토 속에서 옷을 털고 흙탕 속에서
발을 씻는 것과 같다. 그런데도 어찌 하여
그 곳에서 초탈하지 않겠는가.?
언제나 1단 높은 곳으로부터 출발 하려고
마음을 기우리지 않는다면,아무리 노력
해도 그것은 먼지 속에서 먼지를 털고,
흙탕 속에서 발을 씻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저히 凡俗(범속)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
書經功周官(서경 공주관)에서
숭고함은 志(뜻)이요,
業(업)을 넓이는것은 勤(근)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뜻을 높게 가진 사람이요.
큰 사업을 성취하는 사람은 근면
노력하는 사람이다.
즉,인간은 어느 만큼의 높은 뜻을 가지는가,
그리고 얼마 만큼 노력 하는가에 따라,자유
자재로 자기의 인생을 조절 할수있게 된다.
論語 陽貸(논어 양대)에
習(습)은 相遠(사원)한다.
性(성)은 相近(상근)하고
사람의 천성이라는 것은 그다지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태어난 후의 행동이나 사고방식의 차이에 의해 각자의 인생에는 큰
간격이 생기고 만다.
놓치고 싶지 않은 나의 인생에서
옮기어 온 글
|